더 존 오브 인터레스트 담장 너머 평온한 일상에 숨겨진 지옥
2024년 6월, 조나단 글레이저 감독의 작품 <더 존 오브 인터레스트>가 국내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이 영화는 전통적인 홀로코스트 영화의 틀을 과감히 벗어나, 관객의 오감을 조용히, 그러나 강렬하게 압박하는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특유의 정적이고 차가운 연출은 오히려 담장 너머 벌어지는 지옥도를 더욱 생생하게 체감하게 만듭니다. 금전적 이득이라는 잔혹한 의미를 내포한 제목처럼, 인간성 상실과 도덕적 붕괴를 무심히 드러내며 깊은 여운을 남기는 작품입니다. 줄거리 영화는 약 2분 넘게 깜깜한 화면과 음산한 소리로 시작하며 관객의 긴장감을 끌어올립니다. 곧이어 밝은 햇살 아래, 아우슈비츠 수용소 담장 바로 옆 강가에서 평화로운 소풍을 즐기는 회스 가족이 등장합니다. 주인공 루돌프 회스는 아내 헤트비히, 다섯 자녀와 함께 수용소 인근 주택에서 아무렇지 않게 일상을 영위합니다. 정원 가꾸기, 온실 돌보기, 자녀들과 수영장 놀기 등 겉보기에는 그저 평범하고 행복한 가정의 모습입니다. 하지만 화면 너머에서는 총성, 포로들의 비명, 불길한 명령 소리가 끊이지 않고 들려오며 두 세계의 극명한 대비를 이룹니다. 헤트비히는 수용소 포로들이 몰수당한 옷과 귀중품을 자신의 물건처럼 소비하고, 동료 부인들과 농담 섞인 대화를 나누며 그 상황을 당연시합니다. 루돌프는 수용소의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스실과 시체 소각로의 신형 설계를 듣고 깊은 관심을 보입니다. 가스실에서 소각로로 이어지는 시스템을 '적재물'이라는 단어로 표현하는 장면은 인간 생명을 어떻게 사물화했는지를 처절하게 보여줍니다. 또한 폴란드 소녀가 몰래 사과를 떨어뜨려 포로들에게 작은 희망을 전달하는 장면은 참혹한 현실 속에서도 존재하는 인간애를 상징합니다. 루돌프는 가족과 말을 타고 수용소 주변을 순찰하며 모든 것이 통제된 세상을 아들에게 설명하지만, 아이는 아무것도 알지 못한 채 맑은 눈으로 주변을 바라봅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강가에 퍼지는 잿빛 물줄기와 하늘에 드리워진 검은 연기는 회스 가...